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메뉴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검색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닫기
커뮤니티

소식

모두의 건강식에서 나를 위한 식품으로… 2025 푸드위크에서 본 ‘식탁 혁명’

행정실
  • 2025.11.06
  • 29
관련링크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11/05/2025110504281.… (6회 연결)

f641bc7418d97484c9a87caebdbe13a4_1762402465_3472.jpg 

피자, 치킨 등 음식을 먹는 우리 모두의 몸엔 '당독소'가 쌓여있다. 당독소는 체내 단백질이나 지방이 식품으로 섭취한 당과 비정상적으로 결합해 생성되는 물질로, 노화를 촉진하고 만성 질환과 비만을 유발하는 해로운 물질이다. 어떤 음식을, 얼마나 먹었고, 평소 생활 습관은 어떤지에 따라 사람마다 당독소가 축적된 양은 다르다.

지난달 31일 코엑스에서 열린 식품 종합 전시회 '2025 푸드위크 코리아'의 한 부스에서 사람별로 다른 당독소 수치를 측정하고, 어떤 음식을 먹을지 추천하는 행사가 진행됐다. 이는 단편적인 모습이었다. 이 부스 외에도 '식품-과학-건강' 축을 잇는 여러 부스들이 등장했다. 올해 전시 주제가 '식탁:혁명'인 이유가 있었다. 그 현장을 찾아, 웰니스 산업이 어떻게 재편되고 있는지 살펴봤다.

푸드위크 코리아는 코엑스와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코엑스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주관하는 전시회로, 올해 20주년을 맞았다. 10월 29일부터 11월 1일까지 개최됐다. 올해 전시에는 42개국 950개사가 1532부스로 참가했다.

당독소 검사기자도 부스에서 당독소 검사를 받았다.B등급이 나와, 식습관 개선이 필요하다는 설명을 들었다./사진=이슬비 기자
◇맛있는 저당·고단백 식품들, 여전히 강세
여전히 가장 큰 웰니스 식품 트렌드는 '헬시플레저'였다. 헬시플레저는 건강을 의미하는 헬시와 즐거움을 뜻하는 레저의 합성어로, 저당·고단백 등으로 건강한데 맛까지 좋은 제품을 뜻한다. A홀에 들어서자마자 입구 쪽에 따로 구성된 '헬시플레저' 섹션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웰니스 식품은 A홀의 '국내&해외 종합식품관'과 C홀의 'K-푸드테크관'에 분산돼 있었다. 가장 놀라운 점은 제품군의 확장성이었다. 음료에 국한됐던 과거와 달리 지금은 저당 그래놀라, 비건 영양바, 저당 떡볶이, 두유 그릭요거트, 저지방 고기, 고단백 닭가슴살면 등 제품의 종류가 매우 다양했다.

특히 눈에 띄었던 고단백 닭가슴살면은 직접 그 형태를 확인하고 싶어 '델쥬아' 부스를 찾았다. 시식 행렬이 매우 길었다. 가족과 함께 전시회를 찾은 A씨(17)는 "닭가슴살면이 과연 맛있을까 걱정했는데, 생각보다 더 정말 면 같고 맛도 있다"며 "다이어트용으로 좋은 것 같다"고 했다.
 
맞춤형 식단2025 푸드위크 코리아에 전시돼 있던 맞춤형 식단./사진=이슬비 기자

◇'나를 위한 식단' 시장 커져
'개인 맞춤형 식단' 분야의 성장도 가시화됐다. 지금까진 사람이 자기에게 맞는 음식을 찾아 먹어야 했다. 예를 들어, 혈당이 높은 사람은 그나마 당이 오르지 않는 음식을 직접 만들거나 제품을 골라 먹어야 했고, 치아가 불편한 사람은 두부, 수프 등 연한 음식만 먹을 수 있었다. 이젠 식품이 사람을 찾는 시대가 됐다. 메디솔라에서는 생애 주기와 질환별로 필요한 영양소를 고려해, 여러 식단을 제공하고 있었다. 임신성 당뇨 환자용, 암 환자용 그리고 만성질환 관리가 필요한 노인용까지 다 별도로 제공했다. 현대그린푸드에서는 질환용 식단은 물론, 상담을 통해 사람마다 필요한 영양 성분을 분석해 맞춘 식단을 제공했다. 약 1000여 개의 레시피가 있다고 홍보했다. 그린비아에서도 단백질이 많은 음식, 혈당을 낮추는 음식 등 세분화된 제품을 판매했다. 이 외에도 독특한 제품들이 많았는데, 잇웍스에서는 건강하면서 노인도 쉽게 십어 먹을 수 있는 고령자 맞춤 간식 '샤르르사브레','부드러운 그래놀라' 등, 피키피커에서는 비타민 B군, 마그네슘 등을 조합한 하드캔디인 '유캔디잇' 등을 선보였다. 메디솔라 관계자는 "매년 놀라운 속도로 맞춤형 식단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고 했다.

더불어 발견한 변화는 맞춤형을 구현하기 위해 AI 기술과 데이터를 활용하는 곳이 늘었다는 것이다. 프로그램만 선보이는 곳도 많았다. 주최 측에서 준비한 푸드테크 섹션에서는 본인에게 필요한 영양을 분석해, 맞춤 간식을 3D 프린터로 만드는 기술이 소개되기도 했다. 코엑스 전시1팀 박기상 팀장은 "올해 놀라웠던 변화 중 하나는 빅데이터, 정보통신기술 관련 기업의 참여도가 크게 증가했다는 것"이라며 "맞춤형 식품뿐 아니라 제조·키오스크 등 식품 산업 전반에 ICT, AI, 데이터 관련 기술이 응용되는 식으로 판이 바뀌고 있다"고 했다.

◇"맞춤형 식품, 서비스와 결합해 일상 속으로 들어올 것"
웰니스 분야의 성장에 핵심 키워드는 '푸드테크'다. 저당·고단백 등의 식품과 개인 맞춤형 식단 개발 모두에 푸드 테크가 결합돼 있다. 박기상 팀장은 "푸드위크를 개최한 지 20주년을 맞이해, 우리의 식문화를 한 단계 높일 수 있는 푸드테크를 이번 전시회에 녹여내려고 노력했다"며 "우리나라에는 전통 식품도 있고, 하이 테크한 식품도 있다는 것을 전 세계적으로 알리고자 했다"고 했다. 전시회를 보면서 놀라웠던 점은, 자신의 건강 상태를 상담하는 관람객이 늘었다는 것이다. 과거에는 맛있는 음식 위주로 관심이 쏠렸다면, 이번 전시에서는 자신의 몸 상태에 맞는 음식을 알고자 했다.

앞으로 해당 시장은 더 커질 전망이다. 전시회 기간 중 지난달 31일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식품연구원이 주최·주관한 '글로벌 푸드테크 기술 표준화 심포지엄'이 열렸다. 특별강연을 발표한 삼성전자 양혜순 부사장은 "식품 시장은 가전식품 대비 스무 배 크고, 매년 6%씩 성장하고 있다"며 "이 점을 관심 있게 살펴보고 있고, 소비자가 앞으로 자신에게 맞는 식단을 어떻게 먹고 사고 조리하고 관리할지를 기기와 서비스가 어우러져 심리스한 통합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빅데이터로 푸드 게놈을 짜, 소비자 상황에 맞춰 제공하는 것"이라며 "예를 들면 냉장고 안에 유통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식자재를 냉장고가 직접 판단해 알려주고, 이 식자재로 만들 수 있는 요리까지 제안하는 식"이라고 했다. 점점 맞춤형 식품 시장 구현 속도는 빨라질 것으로 기대된다. 경희대 임희숙 교수는 심포지엄에서 "푸드테크의 전반적 연평균 성장률은 14.4%로 보고 있다"며 "아시아 태평양 관점에서 맞춤형 식품, 기능성 식품, 케어푸드와 앱·가구 등 맞춤형 서비스 영역이 결합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팩트추적] 디지털 세상 속 외딴섬… '디지털 취약계층'

공기ㆍ물ㆍ전기를 활용한 미생물 기반 미래식품시대 열릴까?

(17104)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덕영대로 1732 동서의학대학원 |TEL. 031-201-2743~5 |E-MAIL. khubk21@khu.ac.kr

KYUNG HEE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